사이먼's 코딩노트
[HTML & CSS] Flex(4) / vscode 세팅 본문
[flex-direction: column과 flex-grow: 1; 적용하기]
- flex-direction이 column일 때, flex-item들의 세로 크기를 지정해주는 속성이 2가지 있다.
- height를 이용하거나 flex-grow를 이용하여 높이를 지정한다.
- flex-container에 남는공간이 100%라면 height: 100%와 flex-flow: 1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.
- height: 100%는 flex-container의 높이를 100% 가진 상태로 끼어있는 상태를 의미한다.
- flex-grow: 1은 flex-container의 남는 공간에 비율계산 후 알맞게 들어간 상태를 의미한다.
- 나중에 코드를 작성할 때, 두 속성의 의미는 비슷하지만 상황에 맞춰 필요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.
See the Pen flex-direction: column; flex-grow:1; 적용하기 by psm817 (@psm817) on CodePen.
[vscode 설치 및 기본 설명]
1. vscode 설치
- 구글에 vscode 검색 후 설치
- 설치 exe 파일 실행 후 체크박스의 항목 모두 체크하고 설치 진행
2. 기본 설정
1) 한국어 플러그인 설치
- vscode 실행 후 좌측상단 메뉴에서 가장 아래 아이콘 선택
- 검색 창에 korean language pack를 입력 후 플러그인 설치
2) 기본 세팅
- 파일 -> 기본설정 -> 설정으로 진입
- 폰트 사이즈는 16~18정도가 가장 무난, 탭 사이즈는 2가 가장 무난한 기본 세팅
- 테마는 클래스와 태그의 색상을 구분하고, 구분자끼리 색상을 다르게 표시해주는 '모노키 흐릿한' 테마를 선택하고 시작하는게 편리하다.
3) 파일 열기
- 파일 탐색기에서 확장자가 있는 파일과 확장자가 없는 폴더 구분
- vscode는 최초에 폴더를 통해 작성된 코드를 오픈 가능
- 폴더 안에 새 파일을 만들 때, 새로 만들기를 통해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확장자명을 txt가 아닌 html이나 css로 바꿔주면 우리가 사용하고자 하는 html파일이나 css파일이 된다.
3. html, css 기본 세팅
- html 파일에서 !를 입력하고 tab를 누르면 기본 html 구조가 자동으로 작성된다.
- vscode에서는 html과 css를 직접 연결을 시켜줘야 한다.
- 연결하는 방법은 head 태그 안에서 link를 입력하고 tab를 누르면 기본 링크 구조가 자동으로 작성된다.
- link 태그 안에 href에 해당 html과 연결되는 css 파일명을 입력한다.
반응형
'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 & CSS] background-image / 디자인삼성 탑바 제작(2) (2) | 2023.12.08 |
---|---|
[HTML & CSS] img 태그 / 디자인삼성 탑바 제작(1) (0) | 2023.12.06 |
[HTML & CSS] Flex(3) (0) | 2023.12.01 |
[HTML & CSS] Flex(2) (0) | 2023.11.30 |
[HTML & CSS ] Flex(1) (0) | 2023.11.29 |